통합환경관리 악취 대응, 태성의 솔루션

 

"통합환경관리 악취 대응, 태성의 솔루션으로 완성하십시오"

 

 

태성환경연구소는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진행한 통합관리사업장 악취 측정 용역에서

지역별 환경청 (한강유역, 금강유역, 낙동강유역, 영산강유역, 대구지방, 수도권대기, 원주지방, 전북지방환경청 등과 협력하여,
165개소 통합관리사업장을 대상으로 배출구 및 부지경계 22개 지점의 복합악취 측정 및 평가를 수행 중입니다.

 

용역공정예정표

 

추진일정 

과업수행내용

 

’25.04. ~ ’25.11.(약 8개월)

M1

3월

M2

4월

M3

5월

M4

6월

M5

7월

M6

8월

M7

9월

M8

10월

M9

11월

M10

12월

○ 과업수행계획서 작성 및 제출 

                     
                   
                   

가. 오염도검사 측정업무 지원

                   

○ 조사대상 사업장 및 측정항목 선정

(발주기관 선정)

                   
                   
                   

○ 시료채취 및 분석

                   
                     

나. 사업장 오염배출 현황 측정·분석·DB화

                   

○ 조사대상 시설의 허가배출기준 초과

여부 확인

                   
                   
                   

○ 신규 오염물질 검출 여부 확인

                   
                     

○ 착수보고회 및 자문회의

   

               

○ 중간보고회 및 자문회의(필요시)

           

     

○ 최종보고회 및 자문회의(필요시)

               

 

○ 정기보고(매월 10일)

   

○ 결과 및 정산보고

                 

 

 

주요 수행 절차

 

조사항목 

1. 복합악취 : 공기희석 관능법으로 복합악취 산출

      ※ 악취배출사업장의 경우 : 부지경계 또는 배출구 분석

2. 지정악취물질 : 권역별, 사업장별 검사항목

      - 제1권역, 제2권역 : 지정악취물질 22종

      - 제3권역 : 암모니아, 황화수소

구분 공업지역 (배출허용기준) 기타지역 (배출허용기준) 공업지역 (엄격한 기준) 기타지역 (엄격한 기준)
배출구 1000 이하 500 이하 500배 ~ 1000배 300배 ~ 500배
부지경계선 20 이하 15 이하 15배 ~ 20배 10배 ~ 15배

 

EMB000033501616

공기희석관능법

 

 

시험항목

배출허용기준(ppm)

분석 기기

기타지역

공업지역

1

Hydrogen sulfide

0.02

0.06

GC/FPD

(저온농축)

2

Methylmercaptane

0.002

0.004

3

DMS

0.01

0.05

4

DMDS

0.009

0.003

5

Acetaldehyde

0.05

0.1

HPLC

(DNPH 카트리지 흡착)

6

Propionaldehyde

0.05

0.1

7

Butyraldehyde

0.029

0.1

8

Isovaleraldehyde

0.003

0.006

9

Valeralehyde

0.009

0.02

10

Styrene

0.4

0.8

GC/MSD(농축)

11

Trimethylamine

0.005

0.02

GC/NPD(임핀져법)

12

Ammonia

1

2

UV(붕산용액흡수법)

13

Toluene

10

30

GC/MSD(농축)

(고체흡착관이용)

14

Xylene(p/m/o)

1

2

15

MEK

13

35

16

MIBK

1

3

17

Butylacetate

1

4

18

Propionic acid

0.03

0.07

GC/FID

(알칼리 수용액 흡수법)

19

Butyric acid

0.001

0.002

20

Isovaleric acid

0.001

0.004

21

Valeric acid

0.0009

0.002

22

Isobutylalcohol

0.9

4

GC/MSD(농축)

22대 지정악취 분석 방법

 

 

통합환경관리제도란?

 

2017 1월부터 시행된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기존 10여 개의 분산된 인허가 제도를 하나로 통합환경 인허가 통합체계입니다.

단순 규제를 넘어, 오염물질의 전 과정 관리를 통해 사업장의 환경관리 수준을 높이고, 환경청과의 협력 중심 관리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사업장별 오염물질 배출 특성 분석
시설 운영의 효율성 확보
환경적·경제적 최적방안을 통한 허가 체계 구축

 

이 과정에서 악취는 지역사회 민원과 직결되는 핵심 요소통합환경관리계획서 작성 시 정확한 악취 분석 데이터 확보가 매우 중요합니다.

 

현재 진행 중인 악취 분야 측정·분석 용역

 

  • 가동개시신고, 정기 및 수시검사 등 법적 검사
  • 민원 및 사고 대응을 위한 긴급 분석
  • 환경청과 협의에 따른 오염도 항목 선정 및 측정
  •  

등의 항목을 포함하며, 「악취공정시험기준」 에 기반한 복합악취 및 지정악취 분석이 요구됩니다.

 

이에 따라 태성환경연구소는 다음과 같은 솔루션을 제안드립니다:

 

정밀 악취 측정 장비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현장 맞춤형 액세서리 및 모듈
신속한 유지보수 및 예비 장비 운영체계

 

 

[성공사례] "환경청무인 악취 시료 자동채취장치 임대 사업"

 

태성환경연구소는 최근 환경청 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악취공정시험기준을 충족하는 무인 악취 시료 자동채취장치 임대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장비 사전 정비 및 시험운영 → 무오작동 납품 완료

맞춤형 액세서리 제공 → 부지 특성 맞춤형 채취 가능

48시간 내 복구 불가 시 즉시 대체 장비 투입 등, 철저한 사후관리 체계 구축

데이터 기반 악취 실태 파악 → 지역 맞춤형 저감 대책 수립에 기여

 

본 사업은 대여료, 유지관리 비용, 임대기간 등 모든 조건에서
투명하고 합리적인 협의 과정을 통해 수요기관 만족도와 신뢰를 동시에 확보하였습니다.

 

 

현장 설치 실물 사진(TMCS) 민원 발생지 무인 포집기능

 

 

Image_20241213_153449_236.jpeg

 Image_20241213_153449_281.jpeg

 

태성환경연구소는

이번 사례를 바탕으로 다른 지역 환경청 및 사업장으로 확대 적용을 준비하고 있으며,
정확하고 지속 가능한 악취 관리 솔루션의 파트너로서 함께하겠습니다.

악취 분석통합인허가 대응실질적 성과
모두를 고려한 실행력 있는 파트너 – 태성환경연구소를 선택하십시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