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환경분야 엔지니어 전문 인력이 현장 방문 조사하여 방지시설, 운영상태 파악, 악취시료를 채취 하고 컨설팅을 진행합니다.
악취 원인 규명 (진단)
-
시료채취
악취경향을 파악하고 각 방지시설의 악취 제거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악취 발생 시각 및 횟수, 지점, 기타설비 운전조건 등을 고려하여 시료채취를 진행합니다.
-
관능평가
채취한 시료의 관능평가는 해당 전문가를 이용하여 진행합니다. 관능평가란 사람의 후각을 이용하여 냄새를 맡고 냄새의 종류와 강도를 측정, 분석 하는 방법입니다.
-
기기분석
분석 기기를 이용하여 각 채취된 시료를 실질적인 물질과 농도를 구하고 농도와 최소감지 값을 이용해 역치를 산출하여 악취기여율을 산출합니다. 기여율을 이용하여 악취 원인 물질을 찾습니다.
단수프로그램(시술)
설계 단계에서 단수프로그램을 이용해 악취물질 검출 농도, 제원등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상되는 풍량, 악품사용량, 견적을 빠른 시간내에 도출하고 높은 정확성을 자랑합니다.



냄새키트
냄새키트는 특정 냄새를 그대로 재현하여 용기에 보관해 언제든지 해당 냄새를 맡을 수 있습니다. 냄새 재현을 통해 냄새가 발생하는 주요 물질을 정확히 파악하고 관능평가시 냄새키트를 이용해 평가합니다.


악취모델링
악취모델링은 악취배출지점을 중심으로 주변 지역에 대한 악취 영향도를 파악하기 위한 정량적 예측 프로그램입니다.
기본적으로 배출지점을 중심으로 약10Km의 장방형을 기준으로 500m 간격 구역에 대한 지점별 악취 모델링을 나타내고 구역 설정 및 간격은 조정이 가능합니다.


악취 영향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초 입력자료로 해당 지역 풍향, 풍속 등 기상 Data를 시간 단위별로 입력하고, 최종 배출 지점에 대한 배출구 정보를 입력하여 결과를 나타냅니다.

